본문 바로가기

FTA2

브렉시트(Brexit) & 블랙프라이데이/광군제 & 모디노믹스 & 3대 원유 [1] 브렉시트: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2020년 1월 31일 밤 11시, 영국은 유럽연합(EU)에서 정식으로 탈퇴하며 오랜 논쟁의 마침표를 찍었다. 2016년 6월 국민투표로 탈퇴가 결정된 이후, 약 3년 7개월간 지속된 불확실성의 시대가 마무리된 순간이었다. 브렉시트 논의는 2010년대 초 유럽 재정위기 심화와 함께 본격화됐다. 다른 회원국의 재정 위기를 지원해야 하는 데 대한 불만, 늘어나는 이민자와 줄어드는 일자리, EU 규제에 대한 피로감 등이 탈퇴 여론을 자극했다. 2013년 당시 총리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은 이 같은 여론을 반영해 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공언했고, 2016년 찬성 51.9%로 예상을 깨고 통과됐다.탈퇴 결정 이후에도 많은 진통이 있었다. EU와 완전히 관계를 끊는 '하.. 2025. 5. 13.
자유무역협정(FTA) & 세계무역기구(WTO) & 교역조건 대한민국은 다수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 경제의 약 70% 이상을 아우르는 협정 망을 구축해 ‘FTA 중심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2020년 2월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아세안, 인도, 호주, 캐나다 등 55개국과 총 16건의 FTA를 체결하였고, 이로써 세계 주요 4대 경제권과 모두 자유무역 관계를 맺고 있다.FTA는 국가 간의 무역 장벽을 낮추기 위해 체결되는 협정으로, 일반적으로 관세를 철폐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수입 식품 가격의 하락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형마트에서 이전보다 저렴한 가격에 고급 포도주, 치즈, 과일 등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동차 ..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