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이소에서 화장품 산다고?” 초저가 시장의 제왕, 다이소가 흔들고 있는 뷰티 생태계

by 부자섭 2025. 7. 4.

한때 “싼 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어울렸던 다이소 화장품. 그러나 요즘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고물가 시대, 소비자들의 눈은 점점 더 가성비로 쏠리고 있고, 그 중심에 다이소가 있습니다. 놀랍게도 다이소의 효자 상품 중 하나가 바로 ‘화장품’. 단순한 저가 판매를 넘어 뷰티 시장의 흐름까지 바꾸고 있는 다이소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진출하고 있는 이유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다이소, 왜 잘 나갈 수밖에 없는가?
  2. 화장품이 효자 상품?
  3. 왜 대기업까지 다이소에 입점하나
  4. 뷰티 유튜버들의 꿀템 콘텐츠
  5. 초저가 시장 공략의 숨은 전략
  6. 다이소의 고성장을 이끄는 ‘팔로 다변화’
  7.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까지
  8. 화장품 다음은 패션?
  9. 가격 인상 대신 ‘가격층 확대’ 전략
  10. 다이소의 미래는 어디까지 갈까

본문 

1. 다이소, 왜 잘 나갈 수밖에 없는가?

고물가 장기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가성비’를 찾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이소는 초저가 이미지로 강력한 경쟁력을 갖게 되었고, 매출은 매년 상승 곡선을 그리는 중입니다.

2. 화장품이 효자 상품?

예전엔 품질 논란이 있었던 다이소 화장품. 하지만 요즘은 유튜브에서 '다이소 꿀템', '무조건 담아야 할 뷰티템'으로 소개되며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뷰티 유튜버들이 초기에 저비용 콘텐츠로 활용하기 좋은 소재로 자리잡았기 때문이죠.

3. 왜 대기업까지 다이소에 입점하나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 화장품 기업들이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만들어 입점하고 있습니다. 저렴한 버전을 통해 젊은 고객층과의 첫 접점을 만들고, 장기적으로 충성 고객으로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4. 뷰티 유튜버들의 꿀템 콘텐츠

저가 제품이지만 유튜브에서 다이소 뷰티템은 트래픽이 보장된 콘텐츠입니다. 특히 화장에 관심 많은 10~20대가 주 타깃층으로, 조회수와 구독자 수 확보에 효과적이기 때문이죠.

5. 초저가 시장 공략의 숨은 전략

화장품 원가는 상대적으로 낮고, 다이소는 마케팅 비용도 적습니다. 대량 생산과 저용량 버전 전략으로 초저가임에도 수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6. 다이소의 고성장을 이끄는 ‘팔로 다변화’

중국 관광객 감소와 로드샵 쇠퇴로 기존 브랜드들이 팔로(판매 경로)를 잃자, 다이소는 오히려 안정적인 유통 채널로 부상했습니다. 올리브영과 함께 뷰티 업계의 새로운 필수 채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7.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까지

다이소 자체 앱 사용자가 200만 명을 넘었습니다. 매장 품절 이슈 때문에 앱을 통해 재고를 확인하고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고, 쿠팡·네이버 스토어 등 외부 채널에서도 활발히 판매되고 있습니다.

8. 화장품 다음은 패션?

최근 다이소는 후드티, 패딩, 플리스 등 기본 의류 아이템도 판매 중입니다. 유니클로나 탑텐보다 저렴한 가격에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제공하며 저가 의류 시장까지 넘보고 있습니다.

9. 가격 인상 대신 ‘가격층 확대’ 전략

기존엔 1,000~5,000원 가격대였지만, 향후 더 고가의 제품군도 다이소에 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가 화장품이 다이소의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0. 다이소의 미래는 어디까지 갈까

다이소는 유통업계에서 드물게 8%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 중입니다. 고물가,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초저가 시장의 수요는 커질 것이며, 다이소는 그 중심에서 성장판을 더 크게 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마무리

화장품은 다이소의 성장 전략에서 단순한 상품군이 아닙니다. 다이소는 '저가 이미지'를 넘어서, '합리적 소비'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가성비에 민감한 소비자, 브랜드 충성도가 낮은 MZ세대, 팔로를 잃은 뷰티 대기업들이 만들어낸 새로운 생태계. 다이소는 그 한가운데서 ‘묻고 더블로 가’고 있는 중입니다.